Skip to main content
soso01 blog
  1. Posts/

supabase으로 매직링크 사용자 인증

·3 mins

사이드로 만들 사이트 인증 쪽 하다가 배운 것 정리

supabase란? #

https://supabase.com/

파이어베이스 대체제로 나온 서비스이다. 파이어베이스보다 좋은 점은 PostgreSQL을 데이터베이스로 사용이 가능하다. 파이어베이스는 db 쿼리가 좋지 않은 거로 아는데, 이 부분에선 PostgreSQL을 쓸 수 있는 supabase가 확실히 낫다. 그리고 셀프 호스팅으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호감이다.

이 포스팅에서 다룰 인증은 파이어 베이스에도 있는 기능이다. 아마 사용방식도 비슷할 것 같다.

프로젝트 설정 #

https://app.supabase.io/

supabase에서 프로젝트 생성 후, authentication 설정을 들어간다.

supabase setting

사이트 url과 jwt expiry를 설정하자. jwt 만료시간은 accessToken에 적용된다. refreshToken은 왜 없는지 궁금했는데, jwt 토큰 형식이 아니었다.

{
    "provider_token": null,
    "access_token": "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hdWQiOiJhdXRoZW50aWNhdGVkIiwiZXhwIjoxNjUxNzU1ODkyLCJzdWIiOiJjYjE5NDliNy0yNzJkLTQ2OWItYjRiYS01M2RhMDE4YTllMmIiLCJlbWFpbCI6InNvc28wMWRldkBnbWFpbC5jb20iLCJwaG9uZSI6IiIsImFwcF9tZXRhZGF0YSI6eyJwcm92aWRlciI6ImVtYWlsIiwicHJvdmlkZXJzIjpbImVtYWlsIl19LCJ1c2VyX21ldGFkYXRhIjp7fSwicm9sZSI6ImF1dGhlbnRpY2F0ZWQifQ.6wch2tYoc3ynLl_RxM7ZGFH4DrREOGDO8HyV-H2-T6o",
    "expires_in": 3600,
    "expires_at": 1651755893,
    "refresh_token": "YfHHAXSBlltxLoJ4kbXU5Q",
    "token_type": "bearer",
    "user": {
			...
    }
}

위 포맷으로 세션 정보를 가져온다. refresh 토큰은 jwt 토큰이 아닌, 그냥 키값이었다. 그리고 세션을 갱신할 때마다 refresh_token도 변경된다. 평소에 사용하던 jwt 토큰의 refresh 방식이 아니라 일회용 키값을 발급해주는 식인 것 같은데 만료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프론트엔드 설정 #

import { createClient } from "@supabase/supabase-js";

const supabaseUrl = import.meta.env.VITE_SUPABASE_URL;
const supabaseAnonKey = import.meta.env.VITE_SUPABASE_ANON_KEY;

export const supabase = createClient(supabaseUrl, supabaseAnonKey);

@supabase/supabase-js js 용 supabase 라이브러리를 설치 후, supabaseClient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await supabase.auth.signIn({ email });

그리고 생성한 supabase 인스턴스에 auth.signIn() 으로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메일만 설정하면 자동으로 매직 링크 로그인 방식으로 인지하고 이메일을 보낸다.

supabase magic link

이메일의 기본 포맷은 위와 같다. 링크 주소는 https://ycfqxoxuzltvyozzmbdt.supabase.co/auth/v1/verify?token=oseidldaadtnhomfwdme&type=magiclink&redirect_to=http://localhost:3000/

인데, token이 리프레쉬 토큰이고, 액세스 토큰을 발급해서 redirect 주소로 쿼리스트링과 함께 보내주는 듯 하다.

// 리프레쉬
supabase.auth.refreshSession();

// 로그아웃
supabase.auth.signOut();

리프레쉬와 로그아웃 호출은 위와 같이 메서드를 호출 하면 된다.

axios 설정 #

스크린샷 2022-05-05 오후 9.26.43.png

스크린샷 2022-05-05 오후 9.34.52.png

supabase 대시보드에서 액세스 jwt 토큰의 시크릿 키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accesskey verify를 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supabase를 인증서버로만 사용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다룰 백엔드 서버는 따로 두려고 한다.

프론트에서 supabase의 액세스키를 헤더에 실어서 백엔드로 보내고, 백엔드에선 jwt를 verify하고 payload에 담긴 유저 id(sub)으로 로직을 수행한다.

import axios, { Axios, AxiosError } from "axios";
import { supabase } from "@/config/supabaseClient";
import { Session, SupabaseClient } from "@supabase/supabase-js";

class API {
  api: Axios;
  supabase: SupabaseClient;

  constructor(supabase: SupabaseClient) {
    this.api = axios.create();
    this.supabase = supabase;

    this.setBaseURL();
    this.setAuthorization(this.supabase.auth.session());
    this.setInterceptor();
  }

  setBaseURL() {
    this.api.defaults.baseURL = import.meta.env.VITE_BASE_URL;
  }

  setAuthorization(session: Session | null) {
    const accessToken = session?.access_token;
    const authorization = accessToken ? `Bearer ${accessToken}` : "";
    this.api.defaults.headers.common["Authorization"] = authorization;
  }

  setInterceptor() {
    this.api.interceptors.response.use(
      (res) => res,
      async (error: AxiosError) => {
        const { config, response } = error;

        if (response?.status === 401 && this.supabase.auth.session()) {
          const accessToken = await this.refresh();

          if (accessToken) {
            return axios({
              ...config,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accessToken}`,
              },
            });
          }
        }

        return Promise.reject(error);
      }
    );
  }

  async refresh() {
    const response = await this.supabase.auth.refreshSession();
    this.setAuthorization(this.supabase.auth.session());

    return response.data?.access_token;
  }

  logout() {
    this.supabase.auth.signOut();
  }
}

export const apiSetting = new API(supabase);
export const api = apiSetting.api;

내 백엔드에 http 요청을 보내기 위해 axios 인스턴스도 따로 설정했다.

로그인하면 setAuthorization 메서드로 헤더에 액세스토큰을 설정하고, 만약 백엔드에서 401 에러를 반환하면, 인터셉터에서 supabase에서 제공하는 refresh 메서드를 실행 후 재요청한다.

백엔드는 nestjs 다시 공부하고 추가 예정

후기 #

외부 서비스로 인증하니 너무 쉽고 편하게 구현할 수 있어서 좋았다. 전에 인증 서비스로 auth0가 유명하길래 봤는데, 그건 너무 비싸서 사용할 엄두가 안 났었다. supabase는 인증서버로만 사용한다면 사실상 평생 무료처럼 보인다. 앞으로 사이드프로젝트에서 인증은 무조건 이거 쓸 것 같다.